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린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 "인터스텔라"

영화 리뷰

by 시내시내 2023. 8. 15. 02:53

본문

1.우주의 깊은 신비, "인터스텔라"의 세계

 

인터스텔라는 2014년에 개봉한 미국 영화로 크리스토퍼 놀란 연출, 매튜 매커너히, 앤 해서웨이 주연으로 한 영화이다.

점점 황폐해져가는 지구를 대체할 인류의 터전을 찾기 위해 새롭게 발견된 웜홀을 통해 항성 간(Interstellar) 우주 여행을 떠나는 탐험가들의 모험이 연대기 순으로 그려진다.

제목인 인터스텔라(Interstellar)는 '~의 중간의, 사이의'를 뜻하는 접두사 'inter-'와 '별의'를 뜻하는 'stellar'의 합성어로, "항성 간의, 성간의"라는 뜻이다.

"인터스텔라"는 인간이 처음으로 우주의 깊은 신비를 탐구하는 모험을 그린 작품으로, 우주 탐사의 열정과 미지의 세계에 대한 경외심을 공감적으로 전달한다.

이 영화에서는 희대의 미스터리인 블랙홀과 외계 문명의 존재, 시공간의 휘발성 등 다양한 과학적 주제를 다루며 관객들에게 우주의 신비로운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영화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기반하여 과학적인 검증을 다시 한 번 하는 계기가 되었고 실제로 호주와 뉴질랜드 연구진이 준항성 천체인 퀘이사(Quasar) 190개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 빅뱅 후 10억년이 흐른 뒤 우주에서 시간이 현재보다 5배 느리게 흐르는 '시간 지연(time dilation)' 현상을 확인했다.

2.인터스텔라의 줄거리

 

세계 각국의 정부와 경제가 완전히 붕괴된 미래가 다가온다. 지난 20세기에 범한 잘못이 전 세계적인 식량 부족을 불러왔고, NASA도 해체되었다.

이때 시공간에 불가사의한 틈이 열리고, 남은 자들에게는 이 곳을 탐험해 인류를 구해야 하는 임무가 지워진다. 사랑하는 가족들을 뒤로 한 채 인류라는 더 큰 가족을 위해, 그들은 이제 희망을 찾아 우주로 향한다.

황폐해진 지구로 인하여 사람들은 공부와 일자리 보다는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농부가 되기를 택하고, 엄청난 모래와 흙먼지가 방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이때, 주인공 '쿠퍼'와 딸은 중력의 이상작용으로 모래가 일정한 패턴을 유지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하여 주인공 '쿠퍼'는 인류가 새롭게 정착 할 수 있는 행성을 찾기 위해 탐사 대원들과 우주로 떠나게 된다.먼저 가 있던 대원들의 신호 중 가장 가까이 있던 행성 "밀러"행성은 착륙하는 것도 난관이였지만, 지구의 중력과 상대성이론으로 인해 밀러행성에서의 1시간은 지구에서는 7년이라는 시간이였다. 쿠퍼가 행성을 떠도는 사이 지구에서는 23년8개월가량 지나고 있었꼬, 그의 딸 '머피'는 아버지를 기다리며 지구의 미래를 연구하는 연구원이 되어 있었다. 그녀는 아버지를 행성 찾기로 보냈던 교수의 플랜에서의 중력 방정식의 오류를 찾아내고 인류를 구할 수 있는 행성을 찾게 된다.

3.상대성 이론과 과학적 사실

 

일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시간과 공간은 다른 개념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하나의 개념이다.

이 시간과 공간을 합쳐 우리는 '시공간'이라고 하는데, 시공간은 우리 눈에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단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뿐이지 분명히 우리 곁에 혹은 어디에나 존재하고 있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은 시공간의 곡률에 의해 발생된다. 시공간의 곡률이란 쉽게 말해,시공간이 왜곡된다는 것입니다.

지구와 천체는 중력이라고 부르는 힘에 의해 휘어진 궤도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휘어진 공간 속에서 가장 가까운 경로를 따라 직선으로 움직인다.

태양 근처에서 빛이 휘어지는 현상과 수성 궤도의 미세한 변화, 그리고 중력장에서 시간이 느려지는 현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즉, 중력이 클수록 시간은 천천히 흐른다. 가장 큰 예로 태양과 달이 겹치는 개기일식을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중력이 강한 곳의 시간은 중력이 약한 곳에 있는 시간보다 느리게 되는 것이다.

4. 시간의 흐름과 가족의 연결, "인터스텔라"의 감동

 

"인터스텔라"는 우주의 거대한 규모와 무시무시한 위험을 배경으로 주인공 쿠퍼의 시공간을 넘나드는 모험을 그린다.

이 영화에서는 쿠퍼가 우주 여행 중에도 자신의 가족과의 강렬한 연결을 유지하며 시간의 흐름과 공간의 무한함에 대한 고찰을 경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영화는 우주의 너머에서도 사랑은 각자의 다른 행성에 있어도 우리를 이어주는 사랑의 방정식이 된다 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마무리하며

 

우주, 블랙홀, 다양한 행성, 4차원 세계 등을 아름답게 구현한 영상과 한스 짐머의 신비롭고도 긴장감 넘치는 음악, 시간과 공간을 교차해가며 이야기가 맞물려지는 그야말로 경이로운 플롯이 호평을 받았다.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시각효과상, 미술상, 음악상, 음향상, 음향편집상 등 5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으며, 이 가운데 시각효과상을 수상하였다.

국내의 경우 평단과 대중 양측 모두에게 대단히 높은 평을 받았다. 이동진 평론가는 별점 5점 만점에 4점(인셉션, 다크 나이트 라이즈에도 4점)을 주었고, 황진미 평론가가 10점 만점에 9점 (다크 나이트, 그래비티에도 9점)을 주는 등 대체적으로 호평 일색이다. 대중에게도 큰 인기를 끌며 천만 영화의 반열에 올랐다.

특히,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 라는 대사는 이 영화를 대표하는 문장이다. 듣기만 해도 따뜻해지는 문장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시청하고 싶게 만들었다.

반면 혹평 측에서는 상대성 이론과 같은 고등 과학이 가득한 영화적 배경이 이해하기 어렵고, 169분이라는 긴 상영시간 때문에 지루하다고 평했다. 또한 드라마 파트에서 놀란의 약점인 "등장인물의 소도구화"가 유독 두드러진 작품이기도 하다. 가족의 사랑이 영화의 주제인데도 처음부터 끝까지 딸 머피만 강조하고 아들 톰은 비중이 없다시피 한 게 대표적인 예라며 영화의 다른 부분을 평가 했다.

"인터스텔라"는 과학, 우주 탐사, 가족의 연결, 용기와 희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깊은 생각과 감동을 전달하는 작품이다.

이 영화는 우주의 신비로움과 인간의 소중한 가치를 탐구하며 관객들에게 생각할 거리를 제공합니다. "인터스텔라"는 인간의 용기와 끈끈한 연결, 그리고 우주의 미스터리를 탐험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강력하게 추천하는 작품이다.

관련글 더보기